{"type":"img","src":"https://cdn.quv.kr/i481gr0ds%2Fup%2F684024af76c3a_1920.png","height":30}
  • 코리아로봇챔피언십
  • 기업 장학 프로그램
  • 진행 중인 프로그램
  • 회원 공간
  • {"google":["Mada","Lato","Libre Baskerville"],"custom":["Noto Sans KR"]}
    ×
     
     
    섹션 설정
    {"type":"img","src":"https://cdn.quv.kr/i481gr0ds%2Fup%2F6841ad2401a7e_1920.png","height":10}
  • 코리아로봇챔피언십
  • 기업 장학 프로그램
  • 진행 중인 프로그램
  • 회원 공간
  • 코리아로봇챔피언십

    (Korea Robot Championship)

    개요

    코리아로봇챔피언십은 대한민국 청소년들이 과학 및 공학에 관심을 가지고 호기심과 열정으로 로봇 미션을 해결하면서 미래 인재로 성장하게 하는 로봇 대회입니다. 매년 전세계 100여개국 70만명의 학생들이 참여하는  미국 FIRST® 재단의 로봇대회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참여하는 FIRST® Tech Challenge 한국대회입니다.매년 코리아로봇챔피언십을 통해 한국 대표팀이 선발되어 4월 중순에 미국에서 열리는 전세계 대회인 FIRST® Championship에 출전하여 세계 여러 나라 학생들과 경쟁을 통해 배우고 교류합니다.

    코리아로봇챔피언십(Korea Robot Championship)의 로고는 대한민국 청소년들이 한국의 미래를 이끌어 갈 내일의 스타임을 의미하는 별(Star)을 기본으로 형상화되었습니다. 로고는 별(대한민국 청소년)의 역동적으로 팽창하는 움직임을 표현하며, 대한민국 청소년들이 자신의 꿈을 향해 힘차게 달려가는 도전의 에너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두 개의 별이 어울려 안정적이고 더 강한 에너지를 나타내도록 하여 공유와 공생, 팀워크를 중요시하는 코리아로봇챔피언십의 정신을 담았습니다. KRC 문자는 코리아로봇챔피언십을 통해 대한민국의 청소년들이 미래 한국을 이끌어 나가는 인재(Star, 스타)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함께 하는 창의공학교육협회의 역동적인 활동과 추진을 의미합니다.

    코리아로봇챔피언십은 학생 스스로 주도하고 과정을 즐기는 청소년 축제입니다.

    참가학생들은 실질적인 융합 문제 해결 역량을 배우며, 과정을 중시하는 "미래를 만드는 에너지"입니다.

    100% 재능기부와 자원봉사(심사위원, 운영위원 등)로 만들어 지며, 청소년들에게 귀감리더십입니다.

    대회를 참여했던 학생들이 대학생이 되어 자원봉사로 함께 하는 리더십 문화입니다.

    매년 세계 많은 나라의 청소년들과 교류하면서 세계적 수준의 융합 역량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만들어 갑니다.

    FIRST® Tech Challenge

    부문 소개

    FIRST Tech Challenge 개요

    › 중‧고등학생에 맞는 진보적인 로봇 미션 해결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지는 융합 인재로 성장합니다.

    › 플라스틱 모형이나 아두이노 등을 사용한 LED, 라인트레이싱에서 벗어나 더 다이나믹하고 높은 수준의 컨텐츠를 사용합니다. 

    › 공학자처럼 엔지니어링 노트를 작성하면서 12V DC 모터를 사용하여 실제 로봇을 개발합니다.

    › 일본, 루마니아 등 다른 나라 팀들과 교류하면서 중고등학교 연령의 세계 수준 융합 컨텐츠를 배우고 글로벌 역량을 키워 나갑니다.

    › 승리와 미션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전략과 상황에 대한 분석으로 중‧고등학생에 꼭 필요한 역량을 배웁니다.

    › 학생들 스스로 주도적으로 역할을 분담하고 계획을 세워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다른 사람과 협력해서 일하는 법을 배웁니다.

    FTC 팀 구성

    › 참가 학생 연령 : 중학교 ~ 고등학교 2학년

    › 팀 구성 : 학생 팀원 3명~15명 + 코치 (1명, 필수)

    ›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 혼합하여 팀 구성 가능

    로봇 제작 재료

    › FTC는 특정 회사 제품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 2자유도(DOF) 이상의 사용 제품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게임 메뉴얼의 "로봇 제작 규정"을 참조하세요.

    FTC 로봇 및 프로그램 제작

    › DC 모터, 서보 모터, 센서 등을 사용하여 제작합니다.

    › 매년 미션을 해결하는 창의적인 구조를 만듭니다.

    › 블록 언어나 자바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합니다.

    대회 즐기기

    › 팀의 활동과 열정을 알리는 퍼레이드를 즐깁니다.

    › 팀원들과 팀 결과를 즐깁니다.

    › 다른 팀과 경쟁하고 교류하며 친구로 지냅니다.

    대회 주요 진행 내용

    팀 퍼레이드 & 개회식

    › 대회는 팀이 수개월 준비해온 결과를 즐기는 날입니다.

    › 팀 소품을 준비하여 팀 퍼레이드로 대회를 멋지게 시작해 보세요.

    › 팀 결과물을 팀 부스에 전시하고 다른 팀과 나눕니다.

    › 개회식에서 후원사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 심사, 운영위원의 가이드와 의견을 존중하고 동의합니다.

    결선 경기

    › 시합은 로봇이 자율로 미션을 해결하는 30초 자율주행과

    › 이어 2명의 드라이버가 조종해서 미션을 해결하는 2분 조종 경기로 진행됩니다.

    › 팀당 총 5경기를 가집니다.

    › 두 팀이 동맹이 되어 두 동맹(로봇 4대)이 경기를 합니다.

    › 동맹 팀과 승리 전략을 이야기하고 시합에서 협력합니다.

    엔지니어링노트 심사

    › 팀이 작성한 엔지니어링노트에 대해 심사합니다.

    › 로봇을 제작하면서 평가 및 개선 등 체계적으로, 꾸준히 활동하였는지 평가합니다.

    › 팀 발표와 심사위원 Q&A가 진행됩니다. 

    › 경기 결과와 무관하게 심사하고 시상합니다.

    › 대회 이전에 온라인 심사로 진행됩니다.

    디자인 심사

    › 팀 로봇의 창의적인 구조, 기능에 대해 평가합니다.

    › 팀 발표와 심사위원 Q&A가 진행됩니다. 

    › 팀 로봇의 안정성, 견고성 등에 대해 심사합니다.

    › 경기 결과와 무관하게 심사하고 시상합니다.

    › 대회 이전에 온라인 심사로 진행됩니다.

    동맹 결성

    › 결선 경기 성적 상위 팀이 Playoff에 함께한 다른 팀을 동맹으로 선택합니다.

    › 순위에 따라 캡틴팀이 다른팀에게 동맹을 제안합니다.  

    › 팀은 결선 경기 중 다른 팀에 대해 분석합니다.

    › FTC 경기는 분석 및 전략, 지략이 필요합니다.

    Playoff & 메달리언

    › Playoff에 진출한 동맹이 경기 수상팀을 가립니다.

    › Playoff는 토너멘트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폐회식 직후 모든 팀원을 응원하는 메달리언이 무대 위에서 진행됩니다.

    › 대회에 참가한 학생은 이미 챔피언입니다.

    코리아로봇챔피언십

    기대 효과

    › 중‧고등학생에 맞는 진보적인 로봇 미션 해결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지는 융합 인재로 성장합니다.

    › 미션을 해결하기 위해 실제 수학, 과학을 적용하여, 로봇을 설계하고 제작하며 프로그램을 개발합니다.

    › 개발 과정을 엔지니어링 노트로 작성합니다.

    › 대회를 준비하면서 문제해결 능력, 팀워크, 타인에 대한 배려심, 상호 소통 능력을 키웁니다.

    › 실제 현장의 융합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고 미래 국가의 산업 인재로 성장합니다.

    ›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적인 사고 능력을 함양합니다.

    › 함께 일할 줄 아는 법을 배웁니다.

    코리아로봇챔피언십은

    축제입니다.

    › 수상에 집착하지 않고 스포츠맨십 정신으로 공정하게 Gracious Professionalism을 실천합니다.

    › 다른 팀으로부터 배우고, 지식과 경험을 공유합니다.

    › 자신과 팀의 도전을 즐기고 자축하며, 새로운 친구를 만나고 응원합니다.

    › 심사위원, 자원봉사자, 운영위원 등 대회 관계자에게 존경을 표합니다.

    {"google":["Mada","Lato","Libre Baskerville","Roboto","EB Garamond"],"custom":["Noto Sans KR"]}{"google":["Mada","Lato","Libre Baskerville"],"custom":["Noto Sans KR"]}
    {"google":["Mada"],"custom":["Noto Sans KR"]}